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45

[C언어] Dev C++ 설치법, 특징 정리 [Dev C++]은 C/C++언어의 통합계발환경입니다. C를 이용할 수 있는 다른 계발환경도 많지만 Dev C++을 이용하는 이유는 일단 무료이고 프로그램이 가벼워서 사용하기 편하기 때문입니다. 너무 전문적으로 들어가지 않고 가볍게 사용하고 싶다면 Dev C++을 사용하시면 될 것입니다. 그리고 Dev C++은 윈도우 환경에서만 사용가능하다고 하니 유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https://sourceforge.net/projects/orwelldevcpp/ Dev-C++ Download Dev-C++ for free. A free, portable, fast and simple C/C++ IDE. A new and improved fork of Bloodshed Dev-C++ sourceforge.net .. 2020. 3. 24.
<재태크의 시작> 재테크의 3단계(3원칙). 기본 중심부터 제대로 잡고 가자! 재테크란 '재무(財務)'와 'Technology'의 합성어로 보유 자금을 효율적으로 운용하여 최대 이익을 창출하는 것을 말한다. 즉, 쉽게 말해 자기가 가진 자산을 최선의 방법을 이용해 최대로 불리는 거라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렇다면 어떻게 하면 재테크를 잘할 수 있을까? 사람들은 재테크라는 말을 들으면 주식, 부동산, 채권 등 제각기 다양한 방법들을 떠올릴 것이다. 그러나 이것들은 재테크를 하는 많은 개별적 방법들 중의 하나일 뿐이지 재테크 그 자체는 아니다. 보통 재테크에 대해 전체적인 흐름을 잡고 접근하는 경우는 많지는 않은 것 같다. 어디서 무슨 주식이 좋다는 말을 들으면 그걸 사고, 어떤 아파트가 오를거라는 말을 들으면 그걸 사는 등 특별한 계획없이 자신이 가진 투자자산을 소모해 버리는 경우가.. 2020. 3. 23.
[주식투자] 나는 투자자인가? 트레이더인가? 사람들은 보통 주식을 그저 '하는 사람, 하지 않는 사람'으로 구분한다. 거기에 더해 주식을 하는 사람들을 다시 더 세부적으로 구분지어 생각하는 경우가 많지 않은 것 같다. 하지만 사실 주식을 하는 사람들은 크게 두 분류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바로 투자자(흔히 가치투자자라고 함)와 트레이더다. 이 두 분류 다 자신은 주식을 한다고 말할 것이다. 그러나 이 둘은 사실 확연히 다르다. 이제 이 둘을 분류해 볼 것이다. 이 구분을 명확히 짓고 '나는 어떤 부류다', '혹은 나는 어떤 방향으로 주식을 해나갈 것이다'라고 자신의 중심을 확실히 세우고 하는 것과 안하는 것의 차이는 분명히 클 것이다. 이 둘을 각각 살펴보겠다. 1. 투자자(가치투자자) 투자자는 주식투자를 한다고 할 때, 자신이 투자하고자 하는 기.. 2020. 3. 22.
슈뢰딩거 파동방정식(Wave Equation) 활용 2 <오비탈> 보어의 원자모형(전자가 일정한 궤도로 원자핵 주위를 돌고 있음)은 전자의 위치와 운동량을 모두 안다는 가정하에 나온 개념이었다. 이것은 물질의 정확한 위치나 운동량은 알 수 없다는 양자역학(※ 하이젠베르크 불확정성 원리)의 개념에 어긋나는 것이었다. 양자역학과 통계역학을 동원해서 원자 내부를 더 자세히 들여다 보니 원자 내의 전자들의 정확한 위치나 운동량은 알 수 없고 어느 공간에서 발견할 수 있는 확률로만 타나낼 수 있었다. 이것이 오비탈이다. 오비탈은 원자 내 전자의 위치를 확률적으로 나타낸 함수이며 파동방정식의 해로서 나타난다. 앞서 말했듯이 슈뢰딩거 파동방정식은 미시세계의 모든 물질의 운동을 해석할 수 있는 도구이다. 이 도구를 이용해서 원자 내의 전자의 .. 2020. 3. 21.
슈뢰딩거 파동방정식(Wave Equation) 활용 1 <퍼텐셜 우물> 무한 퍼텐셜 우물은 입자가 무한히 깊은 퍼텐셜 우물에 갇혀 있어 나가지 못하는 시스템을 말한다. 고전역학적 관점에서 이 시스템을 보면 단순히 입자가 벽과 충돌하고 그대로 튕겨 나오는 결과를 얻는다고 쉽게 예측할 수 있지만, 양자역학적 관점에서 슈뢰딩거 방정식을 사용해서 이 시스템을 해석해 보면 에너지 상태가 양자화 되어 있다는 것이나 우물 안의 각 지점에서 입자를 발견할 확률이 서로 다르다는 것 등 전혀 직관적이지 않은 결과가 나온다. 이 문제는 양자역학에서 등장하는 다른 문제들이 비해 비교적 매우 쉽게 풀리면서, 동시에 많은 양자역학적 기초 개념들이 어떻게 등장하는지 쉽게 보여줄 수 있기 때문에 처음 양자역학을 배울 때 가장 먼저 소개되는 문제이기도 하다. 무한 퍼텐셜 우물에서.. 2020. 3. 21.
슈뢰딩거 파동방정식(Schrodinger's Wave Equation) 유도 앞서도 언급한 적이 있지만 슈뢰딩거 파동방정식은 파동에 관한 양자역학적 미분방정식으로서, 파동의 에너지 보존 법칙을 표현한 방정식이라고 할 수 있다. 이 개념을 기반으로 슈뢰딩거 파동방정식을 유도해 보도록 하겠다. $$E_k + E_p = E_{total}$$ 즉, 이 식으로부터 슈뢰딩거 파동방정식을 유도할 것이다. $$Quantity$$ $$Quantum \ Operator$$ $$P=\hbar \ k : Momentumk $$ $$k : Wave \ number$$ $$k = -j{\partial W(x,t) \over \partial x }{1 \over W(x,t) }$$ $E=\hbar w : Energy $ $w : Angular \ frequency$ $w = j{\partial W(x, t.. 2020. 3.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