융의 성격유형론은 인간행동이 그 다양성으로 인해 종잡을 수 없는 것 같이 보여도,
사실은 아주 질서정연하고 일관된 경향이 있다는 데서 출발했다. 그리고 인간행동의
다양성은 개인이 인식하고 판단하는 특징이 다르기 때문이라고 보았다. 융은 인간이
외부 환경을 판단할 때 각자 선호하는 방식에 따라 차이가 있음에 주목하여 인간의
심리적 유형을 크게 태도 유형과 기능 유형으로 구분했다.
<태도 유형>
1. 외향적 태도
주체보는 객체를 중시하여 외부의 기준에 따라 결정하고 행동한다.
좋은 영화를 판단하는 기준에 감독의 유명세나 외부 평론가의 긍정적인
평가가 영향을 미치는 경우가 이에 해당한다.
2. 내향적 태도
객체보다는 주체를 중시하여 판단과 행동의 기준이 주관적이다.
따라서 타인의 평가와 같은 객관적 요소보다도 자신이 보고 느낀 것을 기준으로 판단한다.
이 두 가지 태도가 과하게 강조될 경우 종종 대립양상을 띠곤 하지만, 유형이 다를 뿐 서로
대립하는 별개의 것이 아니다. 오히려 상호 보완적인 관계로서 인간은 외향적 태도와 내향적
태도를 동시에 갖고 있다. 게다가 각기 다른 비율로 두 가지 태도를 모두 활용하곤 한다.
이는 모든 인류에게 보편적으로 나타날 뿐만 아니라 선천적인 본성이기 때문에 개인이
의식적으로 타고난 성향을 바꾸거나 선택할 수 없다고 한다.
<기능 유형>
1. 판단 기능(합리적)
이성과 규준을 바탕으로 외부 환경을 판단하므로 합리적 기능이라고 한다.
이 안에서 또 사고/감정 유형으로 세분화된다.
2. 인식 기능(비합리적)
판단 과정 없이 외부 환경을 직접 감지하여 비합리적 기능이라고도 한다.
이 안에서 또 감각/직관 유형으로 세분화된다.
각 하위 기능은 개인이 외부 한경을 판단할 때 어떤 방식을 선호하느냐에 따라
한 기능이 우세할 경우 다른 기능은 약화되기도 한다. 그리고 사람마다 각자 선호하는
방식이 다르기 때문에 그 차이에 따라 개개인의 고유한 성격을 형성한다.
이러한 융의 성격 유형론은 MBTI(성격유형지표)의 토대가 된다.
'심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은영 리포트 결혼 지옥 리뷰 - 다이어트 부부(빼빼부부) 남편 심리 분석 (7) | 2022.09.21 |
---|---|
공유지의 비극 - 목초지의 예 (1) | 2020.04.10 |
거울뉴런(Mirror Neuron) - 공감능력의 근본 원인 (0) | 2020.04.10 |
집단 극화 현상 - 왜 집단은 개인보다 극단적인 선택을 하는가 (0) | 2020.04.09 |
피터팬 증후군(Peter Pan syndrome) (0) | 2020.04.09 |
댓글